All Posts 183

블로그 새단장

블로그 만들기 with. Astro, Github Pages 새해가 되었다.신년 맞이 또 새로운 도전 욕구 뿜뿜.블로그를 다시 써보자!원래 공부를 시작하기 전 방청소 하듯... 티스토리 스킨도 바꿔보았지만이번에는 Github Page를 활용해서 블로그를 만들어 보기로 헀다. 새 블로그 구경가기 > https://leeworms.github.io leeworms안녕하세요. 백앤드 개발자 이재근 입니다. 꾸준한 성장을 위한 블로그 공간을 운영중입니다. 개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leeworms.github.io    테마 고르기 나의 테마 선정기준은 "심플"그리고 무료여야 한다. (돈 없음)깃 블로그 무료테마 추천드립니다 ReactResume React App TemplateReact-CVNext..

끄적.log 2025.02.10

파일 스토리지 관리 서버 구축하기(feat. 파일럿 프로젝트)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시스템의 구조적인 부분을 “이렇게 리팩터링 해보는 건 어떤가요?” 하고 제안했던 내용인데,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공유해볼게요. 나: "이 파일 이렇게하면 받아지는데요?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요?"팀장님: "음.. 다시 한 번 봐보고 너가 말했던 건 만들면서 공부해봐" 그렇게 시작된 셀프 파일럿 프로젝트 이야기  뭐가 문제인데?접근 불가능한 페이지인데 이렇게해서 요렇게하면 페이지에 포함된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어요..! 새로운 서비스 부분을 넘겨받고 둘러보던 중 특정 그룹의 회원들만 볼 수 있는 게시물이지만 포함된 파일엔 접근이 가능했다. 물론 페이지 정보와 파일의 이름에 대한 사전정보가 필요하긴 했지만, 이게 이렇게 다운로드 받을 수..

실무.log 2025.01.15

@RequestMapping

2023.02.23 - [🐢 Study/Spring boot] - 2. REST-API 설계 2. REST-API 설계REST-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 NHN Cloud Meetup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meetup.nhncloud.com 스프링 부트를 활용한 REST-API 서버 구성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는 애ljg960730.tistory.com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DispatcherServlet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때는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컴포넌트의 메서드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매칭되는 핸들러 메서드를 조회할..

개념.log/Spring 2023.02.23

Spring Web MVC - MVC 패턴

2023.02.04 - [🐢 Study/Spring boot] - 1. Spring Web MVC(1) - Servlet 1. Spring Web MVC(1) - ServletHTTP 기본 0.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의 목록이다. IANA가 현재 공ljg960730.tistory.com  MVC 패턴- Model, View, Controller 역할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 역할을 수행하도록 패턴으로 만든 것. 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역할로 요청을 분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HTT..

개념.log/Spring 2023.02.11

Spring Web MVC - Servlet

HTTP 기본0.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의 목록이다. IANA가 현재 공식 HTTP 상ljg960730.tistory.com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 ( Java Platform Enterprise Edition , Java EE 또는 J2EE)-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인 동시에 표준 스펙의 집합.- 웹 애플리케이션 (JSP, Servlet) 부터 데이터베이스 접근 (JDBC)이나 자바 메시징 처리 (JMS) 까지 다룬다.   1. Servlet- J2EE의 스펙 중 서블릿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

개념.log/Spring 2023.02.04

0. 스프링 빈 톺아보기

스프링 빈 사용*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만드는 스프링 빈 정의를 설정한다.* 설정된 스프링 빈 정의를 스프링 빈 컨테이너가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서로 의존성이 있는 스프링 빈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시작과정1. 스프링 빈 컨테이너 구현체에 따라 정해진 포맷의 설정파일 로딩 (XML, 자바 클래스, 그루비 등...)    - 스프링 부트의 기본 스프링 빈 컨테이너 구현체는 ConfigurationApplicationConetext 이며 설정 포맷은 자바클래스이다. 2. 지정된 클래스 패스에 위치한 클래스들을 스캔하고, 스프링 빈 정의가 있으면 로딩.3. 로딩 끝낸 후 스스프링 빈 컨테이너는 정의된 대로 스프링 빈으로 생성하고 컨테이너에서 관리.4. 스프링 빈들 ..

개념.log/Spring 2023.01.26

[Kotlin] Java에서 롬복 사용한 코드 Kotlin 컴파일 에러

[인프런] 최태현님의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 강의 수강 중 발생한 에러에 관한 글입니다.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 인프런 | 강의이 강의를 통해 Kotlin 언어의 특성과 배경, 문법과 동작 원리, 사용 용례, Java와 Kotlin을 함께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www.inflearn.com     Lombok과 컴파일 오류Lombok은 애너테이션을 기반으로 constructor, getter, setter 등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메서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기 때문에 많은 Java 기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 예약 서비스에..

에러.log 2022.07.20

[Algorithm] 시간 복잡도 & 공간 복잡도

시간 복잡도 Big-Ω(빅-오메가) 최선일 때 (best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Big-θ(빅-세타) 보통일 때 (average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Big-O(빅-오) 최악일 때 (worst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위 세 가지 표기법은 시간 복잡도를 각각 최선, 중간(평균), 최악의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방법이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표기법❗️ Big-O 표기법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므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최악의 시간까지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특정 시간 이상이 걸린다” 혹은 “이 정도 시간이 걸린다”를 고려하는 것보다 “이 정도 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를 고려해야 그에 맞는 대응이 가능하다. 시간복잡도에..

Docker 개념 정리(2) - Docker(도커)란?

도커란? 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네임스페이스, 컨트롤 그룹과 같은 리눅스 커널 기능을 이용해서 운영체제 위에 컨테이너들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배포 및 실행하도록 설계된 도구 OS, 백엔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등 무엇이든 컨테이너로 추상화할 수 있게 해줌 도커가 주목받은 이유 - 간편한 사용법, 속도, 도커 허브, 모듈성과 확장성 더보기 간편한 사용법: 도커는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 아키텍트 등 누구든지 컨테이너의 이점을 이용해서 손쉽게 이동성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테스트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누구든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랩탑에서 간단히 패키징하고, 공용 클라우드, 개인용 클라우드, 혹은 bear metal에서 보존..

개념.log/Docker 2022.04.27

Docker 개념 정리(1) - 클라우드 가상화

가상화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1. 가상화 더보기 가상화가 등장하기 이전에 기업의 전통적인 방식은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운영체제, 하나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각 서버가 갖고 있는 시스템 자원 중 약 50~70% 정도만 사용할 수 있었다. 즉, 물리적 서버가 갖고 있는 성능을 100% 활용해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은 갖고 있는 물리적 서버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길 원했고, 각 서버가 100%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길 원했다. 즉, 한 대의 물리적인 장비를 마치 여러 대의 장비처럼 활용하거나, 여러 장비를 하나의 장비처럼 묶어서 사용하기를 원했고 이로 인해 등장한 기술이 "가상화"이다. 1.1. 가상화의 개념 - 가상화(Virtualization..

개념.log/Docker 2022.04.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