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복잡도 Big-Ω(빅-오메가) 최선일 때 (best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Big-θ(빅-세타) 보통일 때 (average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Big-O(빅-오) 최악일 때 (worst case)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위 세 가지 표기법은 시간 복잡도를 각각 최선, 중간(평균), 최악의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는 방법이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표기법❗️ Big-O 표기법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므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최악의 시간까지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특정 시간 이상이 걸린다” 혹은 “이 정도 시간이 걸린다”를 고려하는 것보다 “이 정도 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를 고려해야 그에 맞는 대응이 가능하다. 시간복잡도에..